본문 바로가기
오미글로벌 신간소식

20세기초 중국 동북지역 한인 독립운동 연구

by 어도어 2019. 10. 11.

20세기초 중국 동북지역 한인 독립운동 연구, 저자 : 왕수엔

 

이 책은 저자의 2014년도 ‘中國 共産黨의 滿洲進出과 滿洲地域 韓人 社會主義運動에 관한 연구’라는 박사학위논문을 바탕으로 구성되었다.
내용은 주로 중국공산당이 만주에 진출한 이후 한인 사회주의자가 중국 공산당에 가입하게 된 과정과 영향을 분석한 것이다. 1921년 7월 중국 공산당이 수립되었고 그 다음 해부터 중국 공산당은 본격적인 만주 진출을 시도하였다. 중국 공산당은 만주를 다양한 민족이 모여 살고 있는, 복잡한 이해관계가 얽혀 있는 지역으로 인식하였다. 그리고 이곳에서 혁명의 성공을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여러 소수민족과의 합작이 필수불가결하다고 보았다. 때문에 여러 소수민족을 중국 혁명에 동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다양한 소수민족 정책을 입안하고 추진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중국 공산당은 만주에서 활동하고 있던 한인 사회주의자와 조직적 합작을 시작하였다.
1860년경부터 만주로 이주하는 한인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만주에는 점차 한인 사회가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재만 한인 사회는 일제와 중국 지방 군벌정부로부터 민족적으로 차별받고 계급적으로 억압당하는 등 二重 壓迫을 받았다. 이러한 배경아래 전개된 만주 지역 한인의 독립운동은 민족주의 계열이 운동의 주도권을 줄곧 유지하였다. 그러나 1926년 조선 공산당 만주총국이 건립되면서부터는 한인 사회주의 계열이 만주 지역 국제공산주의 운동의 주도세력으로 부상하였다.
코민테른의 ‘1國 1黨’ 원칙(1924)과 ‘12월 테제’(1928)로 인해 한인 사회주의 세력은 1920년 말부터 자신의 조직을 해산시키고 중국 공산당에 입당하기 시작하였다. 이때부터 한인 사회주의 세력은 한민족의 독립운동 차원을 넘어 ‘만주 현지에서 중국 혁명 운동에 직접 참여하고 조선 혁명을 지원’한다는 목적 아래 중국 공산당과 합작하여 중국의 반제, 반봉건 투쟁에 투신하기 시작하였다. 이처럼 1922~1931년 9월 만주사변 발발 직전까지는 한인이 만주 지역에서 중국 공산당과 정치적인 관계를 맺는 첫 시기였으며 재만 한인이 중국 혁명에 투신한 첫 단계이기도 했다. 중국 공산당에 가입한 한인 사회주의자는 중국의 항일전쟁 승리에 큰 기여를 했다.
1945년 8월 일제가 항복하고 한국이 해방되던 당시 만주 지역에는 200만여 명의 한인들이 있었다. 그리고 해방된 고국을 찾아 귀국 길에 오른 한인을 제외한 110만여 명의 한인이 중국 현지에 남았다. 그들은 중국 공산당과 항일전쟁 시기 맺은 두터운 우의와 신임을 바탕으로 국공내전에 적극 투신하면서 중화인민공화국의 일원이 되었다.
따라서 필자는 ‘조선족의 역사는 처음부터 중국사의 일부분’이었고, ‘조선족의 형성은 중화민족으로의 자연스러운 민족 용합의 결과’이며, ‘근대 조선족의 혁명 투쟁사는 중국 혁명 투쟁사의 일부분’이라는 일부 학자들의 주장에 동의할 수 없다. 필자는 조선족이 중국 혁명에 가담한 것은 중국 공산당의 만주 진출과 그들이 추진한 소수민족 정책과 긴밀한 관계가 있다고 주장한다. 이주 민족으로써 재만 한인이 중국의 국민으로 거듭나는 과정은 자연 동화가 아닌 정치적인 통합 과정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것은 재만 한인이 중국 공산당과 정치적인 관계를 맺으면서 ‘만주 지역 조선민족’으로 거듭나면서 가능하였다. 본문에서는 재만 한인의 정치적인 통합 과정이 시작되는 시점을 1920년대 말부터 1930년대 초로 상정하였다.

 

목차 : 

서 문
Ⅰ. 서 론
1. 문제 제기
2. 선행 연구 검토
3. 연구 목적과 구성
1) 연구 목적
2) 연구 구성
4. 연구 자료와 한계

Ⅱ. 중국 공산당의 만주 진출 배경 및 과정
1. 중국 공산당의 만주 진출 배경
1) 만주지역의 정세 변화
2) 중국 공산당의 민족 정책
2. 중국 공산당의 만주 진출 과정
1) 중국 공산당의 만주 진출을 위한 조직 준비
2) 민족 운동 방침의 전환
3) 만주성위의 수립 및 본격적 만주진출

Ⅲ. 1920년대 만주 지역 한인 사회주의 운동
1. 만주 지역 한인 사회주의 운동의 배경
1) 東北軍政府의 만주 진출과 한인 압박
2) 일제 세력의 만주 진출과 한인 압박
2. 만주 지역 한인 사회주의 운동의 전개
1) 만주 지역 한인의 사회주의 운동 모색
2) 만주 지역 한인 사회주의 운동의 발전
3) 만주 지역 한인 사회주의 운동의 좌절

Ⅳ. 한인 사회주의자의 중국 공산당 입당 배경과 과정
1. 한인 사회주의자의 중국 공산당 입당 배경
1) 코민테른 ‘12월 테제’와 중국 공산당의 태도
2) 조선 공산당 각 파의 고민과 동향
2. 중국 공산당의 한인 정책과 한인 사회주의자의 입당
1) 중국 공산당의 만주 한인에 대한 인식 심화
2) 중공 만주성위의 한인정책
3) 한인 사회주의자의 중국 공산당 가입 과정
3. 한인 사회주의자의 중국 공산당 가입의 확대
1) 한인 사회주의 운동의 목표 재설정
2) 중국 공산당의 폭력혁명 노선과 한인의 중국 혁명 참여
3) 중국 공산당 만주 기층 조직의 급속 발전
4. 만주 한인 좌우 독립운동 관계의 변화
1) 만주에서의 민족주의 운동 발전
2) 민족유일당 결성 운동
3) 사회주의자의 중공 입당 후 독립운동 내부의 좌우 대립 심화

Ⅴ. 한인의 중국 공산당 입당 요인과 의의
1. 한인 당원의 중국 공산당 입당 요인
1) 피압박 민족과 사회주의의 사상적 매력
2) 만주 사회주의 운동의 좌절과 코민테른의 선택
3) 중국 공산당 민족 정책의 유연성과 한인 독립 지원의 약속
2. 중국 혁명에서 한인 당원의 역할
1) 한인 당원과 중국 동북 항일전쟁의 승리
2) 항일전쟁 이후 한인의 두 가지 선택과 해방전쟁 참여
3. 한국과 중국의 평가
1) 한국의 평가
2) 중국의 평가

Ⅵ. 결 론
<참고문헌>
한국 문헌
<단행본>
<학술논문>
중국 문헌
<단행본>
<학술논문>
<기타 자료>
<附 錄>
1920년대 만주 지역 한인 사회주의 운동과 중국 공산당 관련 연표

댓글